볼스크류 수리 방법 및 원칙 ^^
페이지 정보
본문
네티즌 여러분 방문을 환영합니다.
볼스크류 수리의 정의 .
1. 볼스크류 수리란?
장시간 사용에의한 백레쉬 발생으로
시스템으로 보정이 불가능한 범위 일때 실시하는데.
선진국에서는 신품 교체로 진행하며
한국의 대부분 업체에서는 수리후 재 사용 하기 위해 실시하는것을 의미한다.
2. 수리 범위
- 예압 재조정 (볼교환 및 스페샤 교환)
* 예압은 경예압 . 보통예압 . 중(무거운)예압으로 구분한다.
* 예압은 기계의 특성에 따라 축방향 하중을 고려하여 부여한다.
- 예압 조정시 샤프트의 주사용 구간과 원점 복귀 구간의
B(BALL). C(CENTER). D(DIA)의 칫수를 측정후 값을 균일하게
맞춘후 예압을 조정해야 한다.
- 수명이 다한 제품의 수리는 불가
3. 볼스크류 수명의 정의
- SHAFT와 NUT 의 BALL궤도면에 0.2 mm이상 크기의 입자 탈락이
진행되기 시작하면 수명이 다한 제품으로 간주한다.
4. 연삭 볼스크류 SHAFT 생산시 관리 범위
- 타원값 : 0.003mm
- 테이퍼값 : 길이에 따라 0.003 - 0.005mm
5. 워링(가공) 볼스크류 SHAFT 생산시 관리 범위
- 타원값 : 0.01mm
- 테이퍼값 : 길이에 따라 0.02 - 0.05mm
6. 연삭볼스크류와 워링 볼스크류의 품질관리 범위가 다르며
정확한 제품의 특성에 맞추어 수리를 진행해야 사용상 문제가
없는데.
일반적으로 볼교환만 추진하는것을 볼스크류 수리로 알고 있다.
그것은 잘못 이해한 볼스크류에 대한 지식이다.
- 이전글일본 쯔바키 볼스크류 재고 제품 안내 (재고보유) 17.04.19
- 다음글전조 1210 고품질 저가 공급 및 전품목 경쟁력 확보 16.10.12